학생이 R&D 프로젝트 전주기 과정을 수행하며 자기주도적으로 연구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수준의 신진 연구자로 성장하도록 지원
27세에 SCI급 학술지(워터리서치)에 1저자로 논문 게재
“연구의 산업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미세조류와 박테리아를 함께 패키징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 박사후국외연수 선정(’19년) 및 일본 나고야대학교 우주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Post-Doc) 근무
“UST-KASI 캠퍼스에서 공부하며 인공위성 데이터를 활용해 저궤도에서의 전자기이온사이클로트론(EMIC) 파동 연구를 할 수 있었습니다.”
연번 | 과제명 |
---|---|
1 | 핵 이뮤노필린 유전자의 스플라이솜 기구 인산화 조절 연구 |
2 | 신규 마이오카인 N-TSX의 역할 규명 |
3 | 혈관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유전성 뇌혈관 질환 카다실 모델 제작 |
4 | 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저면역원성 키메릭 항원 수용체-자연살해세포 면역세포치료제 제작 |
5 | 미토콘드리아 감지 경로에 기초한 노화 유발 비만의 조절 인자 규명 |
6 | 3차원 신장근위상피배양모델을 활용한 용혈성요독증후군유발 시가독소의 신규병리기전('스트레스과립'중심) 규명 및 감염제어경로발굴 |
7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폐섬유화증 발병 기전 연구 |
8 | 노화에 따라 이동성유전자가 Alternative polyadenylation에 관여하는 기전 분석 |
9 | 유해 Microcystis 대발생 제어용 살조물질의 분석 및 metagenomics 기반 생태 안전성 평가 |
10 | 남세균 감염 바이러스를 통한 녹조 제어 연구 |
11 | 시분해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한 분자수명 측정연구 |
12 | 3차원 세포 모델을 위한 다기능 광학 현미경 이미징 시스템 개발 |
13 | 각막내피층 회복을 위한 세포유래 세포외 기질과 알기네이트 수화겔을 결합한 각막내피세포 전달체 개발 |
14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메인 프로티에이즈 저해제의 탐색 및 저해 기전 규명 |
15 | 고형암 및 바이러스 감염병에 효과적인 CAR(Chimeric antigen receptor) macrophage 개발 |
16 | 교세포의 고등 인지 기능 연구를 위한 in vivo PAR1 수용체 센서 개발 |
17 | 약물 전달 및 방사능 오염 제거를 위한 신규한 고분자 하이드로겔 |
18 | 단백체학 및 통합 생물정보학에 기반한 골수이형성증후군의 저메틸화제 내성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
19 | 도파민 수용체 특이적 활성의 시공간적 조절을 위한 멀티컬러 광유전학 기술 개발 |
20 | 경두개 집속초음파 (FUS) 치료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음향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21 | 시각장애인 보행 보조를 위한 손목 착용형 Tactile Display |
22 | 양자정보처리 네트워크 기반 Variational Quantum Eigensolver |
23 | 고감지성, 고온, 고속 그래핀/III-V 열영상 센서 |
24 | 촉질감 인지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고민감도 압력센싱 플랫폼 |
25 | 손 움직임 감지를 위한 정전 용량 방식의 굽힘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장갑 개발 |
26 | 적층형 액추에이터용 결정배향 압전 세라믹스 개발 |
27 | 복합 펩타이드 도입 기반 골-연골 조직 재생용 하이드로겔 개발 |
28 | 고감도 단파장 적외선 검출용 extended InGaAs 에피 소재 성장 및 물성 평가 기술개발 |
29 | 이차원 혼성박막 소재 기반 트랜지스터 소자의 전기물성 기반 물리적 복제방지 기술 연구 |
30 | 투명 정공 수송층을 활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 및 효율 향상 |
31 | 리그닌을 활용한 전도성 접착제 개발 |
32 | 술폰화 Fe(II) 복합체를 이용한 NOx 처리기술 개발 |
33 |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용 2D 맥신 기반 이종접합 전극소재 설계 |
34 | 유연전자장치용 섬유실형상의 태양광충전 아연-폴리아닐리전지 개발 |
35 | 환경 시료 속의 유해 중금속 및 음이온의 현장 탐지를 위한 고감도/고선택성 나노입자 센서 개발 |
36 | 광전소자용 1000nm 이상의 무연 페로브스카이트 소재개발 |
37 | 유기고분자를 활용한 황화수소 및 이산화황 가스 저감소재 개발 |
38 | 개인위생용품 사용에 따른 실내먼지에 포함된 휘발성 실록산의 영향 평가 |
연번 | 과제명 |
---|---|
1 | 동결 시 일어나는 철 이온의 광물 형성 반응 연구 |
2 | 해마 피라미드 세포에서 개별 입력신호의 유효성 |
3 | 합성 후전 유전 조절 효소 CRISPR/dCas9-SETD7-LMWP을 이용한 유전성 실명의 치료 방법 |
4 | O₂에 의해 메탄올 메틸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 산화시키는 Co 기반 촉매 |
5 | 황화물 기반 전고체 전지용 양극 고도 분석 및 열화 메커니즘 규명을 통한 양극 조성 최적화 |
6 |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신규 공정 자동설계 및 최적화 |
7 | 동일 속 박테리아를 다중감지하기 위한 핵산리셉터의 개발 |
8 |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에 관여하는 간성상세포의 신규 원인 인자 발굴 및 조절 기전 연구 |
9 | 암 정밀 진단용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 |
10 | 신규 마이오카인 Myo-X의 역할 규명 |
11 | 섭식행동 및 대사질환을 조절하는 microRNA의 발굴 |
12 | 고기능의 다중세포 간 오가노이드 제작 |
13 | 항암제 내성 폐암 치료 신규 후보 물질의 in vivo 검증 |
14 | PLK1와 RhoGDI1의 상호결합 억제를 통한 암 치료 표적화 연구 |
15 | 전기차 차체 적용을 위한 고강도·고신율 열처리형 Al-Mg-Si-Mn계 주조용 합금의 개발 |
16 | 금속 이온빔 조사를 이용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산소환원용 금속 나노촉매 제조 기술 개발 |
17 | 데이터 assimilation을 이용하여 SPACE코드의 재관수 현상의 예측 향상 |
18 | 로자탄 활용 Cu-64 Trastuzumab 방사면역병용치료법 개발 |
19 | 알루미늄 합금의 양극산화 피막 성장 거동 및 유전체 파손 기구에 대한 연구 |
20 | 고전도성 나노카본 기반 섬유형 에너지 저장소자 개발 |
21 | 이동 카메라 영상에 대한 지속적인 이상 상황 인식을 위한 딥러닝 기반 변화 탐지 |
22 | 초고속 고감도의 생체발광 이미징 장비 프로토타입 개발 |
23 | 표면 질량분석 기반 저분자 항경련제 정량분석 플랫폼 기술 개발 |
24 |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적용을 위한 Niobium 증착소재의 물성 평가 연구 |
25 |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법를 이용한 혈장 중 항바이러스제의 치료적 약물농도 감시용 분석법 개발 |
26 | 황사전후의 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 비교 |
27 | 동북아시아 근해역 영양염의 시공간 모델링 |
28 | 해수 중 용존산소의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연안역의 총 일차생산력 추정에 관한 연구 |
29 | 애기장대에서 슈도모나스 침입에 따른 ANAC078 유전자의 조직 특이적 발현 연구 |
30 | 전동과급기용 고속 전동기의 다양한 성능 시험 평가 연구 |
연번 | 과제명 |
---|---|
1 | 염증성 카스파제-4의 활성화 기작 및 구조생물학적 연구 |
2 | 저강도 집속초음파 및 초박막 ECoG 기반 측두엽 뇌전증 발작 정밀예측 뇌심부 폐루프 치료시스템 개발 |
3 | 생체모사 소재 기반의 간암 표적 유전자 치료 나노플랫폼 |
4 | 재사용 실리콘오일 기반 세라믹/황화물계/탄소 음극 복합소재 설계를 통한 beyond LIB형 고성능 소듐이온전지 개발 |
5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페렴 액체 생검 유래 단백질체 대량 분석 및 진단 물질 발굴 |
6 | 궤양성 대장염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 미생물로봇 개발 |
7 | 노화 근육에서 Dlk1-Dio3 마이크로 RNA 클러스터 발현억제 기전 연구 |
8 | 촉매 및 아민 재생 공정을 이용한 저비용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개발 |
9 | 안드로이드 앱의 원본 소스 코드 없이 보안 모듈을 패치하여 안드로이드 앱의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앱래핑 고도화 기술 개발 |
10 | 3차원 분광 관측을 통한 은하 항성종족 및 역학 연구 |
11 | 메타게놈 샷건 시퀀싱을 이용한 혼합 어란의 정량적 종 탐지 |
연번 | 과제명 |
---|---|
1 | 코카인 정신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조현병 병인 기전 연구 |
2 | 광유전학이 적용된 뇌 혈류 조절 기전 연구를 위한 광섬유기반 내시경 형태의 광 자극 결합 생체 내 형광현미경 시스템 개발 |
3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을 위한 고성능 캡슐형 흡착제 개발 |
4 | 자연 발생하는 Boil Off Gas를 이용하여 극저온 고압펌프의 입구필요압력을 충족하는 메커니즘 설계 및 개발 |
5 | 생쥐 위 조직 오가노이드 제작 및 이를 이용한 위전암 모델 개발 |
6 | 신경수상돌기 동태 분석 모델 구축을 통한 뇌신경계질환 병인기전 연구 |
7 | 중량물 핸들링 협동로봇을 위한 와이어 구동 유압 매니퓰레이터 및 힘 제어 기반 로봇 제어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8 | MEG의 산화카르보닐화 반응을 위한 셀레늄-알칼리 탄산수소염 담지 촉매 개발 |
9 | 생체 신호를 이용한 감정인식을 위한 전달학습 딥러닝 연구 |
10 | 병렬 가상 환경에서의 강화학습을 이용한 로봇 에이전트의 환경지능 개발 연구 |
11 | 조석주기와 유기물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생물교란에 미치는 영향 |
12 | 남극 코어 퇴적물의 수은 변동과 고환경/고기후 변화 연구 |
13 | Touching media |
14 | 열에너지 저장용 상변환캡슐 자동생산 시스템 및 시제품 제작 |
15 | ICT (스마트팜) 활용 고부가 미세조류 배양과 항산화 활성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정제 및 Caenorhabditis elegans에 관한 인간 항노화 활성연구 |
16 |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자립형 건조기 개발 |
17 | 진동에너지 변환을 활용한 스마트 압전댐퍼 시제품 제작 |
18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st-effective in vivo fluorescent imaging system |
연번 | 과제명 |
---|---|
1 | 적조 발생과 사멸 과정에서 고세균과의 상호작용 규명 |
2 | Cyclin Y/CCNY의 항-뇌전증 효과 연구 |
3 | 메스암페타민 금단에 의한 선조체- 혈액 마이크로 RNA 역변화 연구 |
4 | 화석 은하단 내 은하간 물질을 이용한 은하단 진화 연구 |
5 | 망막색소상피 손상 유발에 있어서 시가독소의 병리기전 규명 |
6 | 스트리킹 기법을 이용한 단일펄스 시분해 전자회절 기술 개발 |
7 | 폐렴검체 유래 세포밖 소포체 분리 및 유전체, 단백질체 분석을 통한 진단 물질 발굴 |
8 | 근지구 우주공간의 EMIC 파동의 특성 연구 |
9 | 살아있는 세포 내 PKM mRNA imaging을 이용한 암세포 상태, 이질성 측정 및 이를 이용한 항암제 개발 |
10 | 콜타르피치로부터 자기소결성 등방인조흑연블록 전구체 및 고용량 이차전지음극재용 Meso Carbon Micro Beads(MCMBs) 개발 |
11 | 적층형 압전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임펄스식 무침주사기의 가능성 연구 |
12 | 재생에너지 소재 물성 학습법 개발 |
13 | 해양미생물 유래 천연 색소의 발굴 및 생리활성 연구 |
14 | 완보 동물의 진화 계통 규명을 위한 고생물학적 비교연구 |
15 | 레이저 유도 표면 가열을 이용한 고밀도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
16 | 행동하는 생쥐용 무선 다기능 뉴럴 프로브 시스템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자폐 관련 사회성 뇌회로 연구 |
17 | 이질균의 병원성 단백질에 의한 식물의 세포사멸 조절 기전 연구 |
이혜미
gabi11_hm@ust.ac.kr
042-865-2393